알고 싶어요

HBM이란 무엇인가요?

bulmokli84 2025. 4. 10. 00:36

HBM(High Bandwidth Memory)에 대한 내용을 세계 시장 점유율과 기술적 배경, 미래 전망


고대역폭 메모리(HBM), 반도체 시대의 조용한 주인공

세상이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인공지능, 자율주행차, 클라우드 컴퓨팅 등 우리 일상 곳곳에 들어선 기술들이 이전보다 훨씬 더 빠르고, 정확하며, 똑똑해지고 있죠. 이 변화의 중심에는 바로 ‘반도체’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 반도체의 성능을 한층 끌어올려주는 숨은 조력자가 있으니, 그것이 바로 **HBM(High Bandwidth Memory, 고대역폭 메모리)**입니다.

HBM이란 무엇인가요?

HBM은 말 그대로 높은 대역폭을 가진 메모리입니다. 기존의 D램(DRAM)과는 구조적으로도, 성능적으로도 큰 차이를 보입니다. 전통적인 D램은 메모리 칩을 메인보드에 수평으로 배치하는 구조를 가졌다면, HBM은 칩을 수직으로 쌓는 3D 적층 구조를 가집니다. 이를 통해 훨씬 더 많은 데이터를 동시에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것입니다.

HBM의 가장 큰 장점은 폭발적인 데이터 전송 속도입니다. HBM3 기준으로 볼 때, 한 개의 HBM 스택만으로도 최대 819GB/s 이상의 대역폭을 낼 수 있습니다. 이는 기존의 GDDR6 메모리보다 몇 배는 빠른 수준이죠. 이런 고성능 덕분에 HBM은 일반적인 PC보다는 AI 서버, 고성능 GPU, 슈퍼컴퓨터, 데이터센터 등 하이엔드 시스템에 주로 사용됩니다.

왜 HBM이 중요한가요?

오늘날 가장 뜨거운 기술 키워드 중 하나는 단연 'AI(인공지능)'입니다. 특히 생성형 AI(예: ChatGPT)나 자율주행, 빅데이터 분석과 같은 분야에서는 수많은 데이터를 순식간에 읽고, 처리하고, 다시 내보내야 합니다. 이때 병목현상이 생기면 시스템 전체의 성능이 뚝 떨어지게 되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CPU, GPU뿐 아니라 메모리 속도도 함께 진화해야만 합니다.

HBM은 이 요구에 딱 맞는 기술입니다. 높은 대역폭은 물론, 전력 효율도 뛰어나기 때문에 전력 대비 성능 면에서도 탁월합니다. 특히, AI 칩에 최적화된 형태로 설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더욱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전망입니다.

세계 HBM 시장 점유율은?

HBM 시장은 현재 소수의 기업들이 과점 체제를 이루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마이크론(Micron)**이 있으며, 이들 세 기업이 사실상 글로벌 시장을 나눠 갖고 있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 SK하이닉스: 2024년 기준, HBM3 시장 점유율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HBM3E 양산에도 가장 앞서 있습니다. 엔비디아, AMD와의 협력을 통해 AI 칩에 최적화된 메모리를 공급하고 있어, 기술력과 생산능력 모두 업계 선두입니다.
  • 삼성전자: 전통적인 메모리 강자로서 HBM 분야에서도 기술 개발을 이어가고 있으며, HBM3E 양산을 선언하고 양산체제를 구축 중입니다. AI 및 데이터센터 수요를 겨냥한 전략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를 꾀하고 있습니다.
  • 마이크론(Micron): 미국의 대표적인 메모리 기업으로, HBM3E 양산 발표를 통해 본격적으로 경쟁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아직은 점유율이 낮지만, 빠른 기술 추격이 기대됩니다.

현재는 SK하이닉스가 기술력과 생산 안정성에서 가장 앞서 있으며, 특히 엔비디아의 차세대 AI GPU 'H200'에 HBM3E를 공급한다는 점에서 시장의 신뢰를 얻고 있습니다.

HBM의 진화: HBM, HBM2, HBM3, 그리고 HBM3E

HBM도 꾸준히 진화하고 있습니다. 초기 HBM은 128GB/s의 대역폭에서 시작했지만, 세대가 올라가면서 속도와 용량 모두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 HBM1: 초창기 버전으로 AMD의 GPU에 처음 적용되었습니다.
  • HBM2: 대역폭이 256GB/s 이상으로 증가하며 본격적인 고성능 컴퓨팅 시장에 진입.
  • HBM2E: 기존보다 더 높은 대역폭과 용량을 지원하여 AI, 클라우드에 적합.
  • HBM3: 2022년부터 양산되기 시작하며 819GB/s 이상의 속도 지원.
  • HBM3E: 가장 최신 기술로, 초당 1TB에 가까운 대역폭을 제공하며 AI 연산 성능을 비약적으로 끌어올립니다.

HBM3E는 특히 초거대 AI 모델을 구동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며, 시장에서의 수요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HBM의 미래는?

HBM의 미래는 매우 밝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AI에 대한 투자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고, 그에 따라 고성능 메모리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앞으로는 HBM4, HBM5로 기술이 더 발전하면서 대역폭은 더욱 넓어지고, 전력 효율도 높아질 것입니다.

또한, HBM은 TSMC나 인텔과 같은 파운드리 기업들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반도체 생태계 전반에 걸친 중요한 키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AI 가속기, LLM 학습용 칩, 클라우드용 고성능 서버 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시장 규모는 매년 두 자릿수 이상 성장할 전망입니다.

마치며

우리가 스마트폰에서 AI 비서를 호출하고, 자율주행차가 도로 위를 달리는 그 순간에도, 눈에 보이지 않는 HBM이 묵묵히 제 역할을 다하고 있습니다. 고대역폭 메모리는 단순한 메모리 기술을 넘어, AI 시대의 심장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기술이 진화할수록 그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이며, HBM을 둘러싼 글로벌 경쟁은 더욱 뜨거워질 것입니다.

SK하이닉스를 비롯한 국내 기업들이 이 시장에서 앞서 나가고 있다는 점은,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의 미래에 있어 매우 고무적인 일입니다. 앞으로도 HBM의 기술 흐름을 지켜보며, 이 작은 칩이 만들어내는 거대한 변화를 함께 느껴보는 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