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 싶어요

수소차 넥쏘

bulmokli84 2025. 4. 10. 02:59

수소로 달리는 꿈, 현대차 넥쏘의 이야기

1. 수소시대의 서막을 열다

2018년, 현대자동차는 자동차 역사에 남을 또 하나의 전환점을 찍었습니다. 전 세계가 친환경 모빌리티를 향해 나아가던 그 시점에, '넥쏘(NEXO)'라는 이름의 수소전기차가 조용히 그러나 강렬하게 등장했습니다.
넥쏘는 내연기관과 배터리 전기차 사이, 전혀 다른 접근 방식의 친환경차였습니다. '수소'라는 가장 가벼운 원소로 움직이며, 주행 중 이산화탄소가 아닌 ‘물’만을 배출하는 차. 마치 공기청정기처럼 대기를 정화하면서 도로 위를 달리는 이 자동차는 곧 수소차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2. 이름에 담긴 철학 - 'NEXO'

'NEXO'라는 이름은 'Next'와 'Oxygen'을 결합한 조어입니다. 미래의 친환경 사회를 향한 다리 역할을 하겠다는 현대차의 포부를 담고 있습니다. 단순히 자동차가 아니라, 깨끗한 에너지를 통해 다음 세대와 지구를 위한 솔루션이 되고자 하는 의지가 느껴집니다.
넥쏘는 SUV 형태로 출시되었으며, 세련된 디자인과 미래지향적인 기술력이 한 몸에 녹아 있습니다. 공기역학적 곡선, 라디에이터 그릴의 고급스러운 패턴, 풀 LED 헤드램프까지. 외형은 그 자체로 미래 도시를 연상케 합니다.

 

3. 기술력의 정수 - 성능과 효율

넥쏘는 수소를 연료로 사용해 전기를 만들어 구동되는 차량입니다. 전통적인 연료차나 심지어 전기차보다도 놀라운 점은 ‘충전 시간’과 ‘주행 거리’입니다.

  • 충전 시간: 약 5분 이내
  • 1회 충전 주행 거리: 약 609km (WLTP 기준)
  • 공기 정화 기능: 1시간 운행 시, 성인 42명이 1시간 동안 마실 수 있는 공기를 정화함

이 수치는 단순히 친환경을 넘어서 실용적인 수준입니다. 여기에 자율주행 보조 시스템(ADAS), 원격 스마트 주차 기능(RSPA), 대형 와이드 디스플레이 등 첨단 기술도 탑재되어 있어, 미래차로서의 면모를 고스란히 보여줍니다.

 

4. 국내외 주요 업적과 상훈

넥쏘는 출시 이후 국내외에서 다양한 업적을 쌓았습니다.

  • 2018 CES 혁신상 수상
  • 2020 독일 ‘Auto Bild’ 수소차 평가 1위
  • 대한민국 국회, 청와대 의전 차량으로 채택
  • 2030 부산엑스포 유치 홍보차량으로 활용

뿐만 아니라, 넥쏘는 수소 모빌리티의 현실 가능성을 증명하며 세계 여러 나라의 수소 인프라 구축 정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습니다. 독일, 영국, 스위스 등에서는 넥쏘를 기반으로 수소차 실증사업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5. 연예활동? 대중 앞에 선 넥쏘

자동차가 '연예활동'이라니, 다소 생소할 수 있지만 넥쏘는 각종 TV 프로그램, 광고, 영화, 환경 캠페인 등에서 자주 등장했습니다.

  • 광고 모델: 배우 공유, 수지 등이 넥쏘 캠페인에 참여
  • 방송 출연: [KBS] 생생정보통, [tvN] 알쓸신잡 등에서 소개
  • 환경 행사: UN기후변화회의, 지구의날 캠페인 등에서 주행 시연

이러한 활동은 수소차가 단순한 '차'가 아니라, 대중적 의식 변화를 이끌 수 있는 아이콘임을 보여줍니다.

 

6. 도전은 계속된다

넥쏘는 현대자동차가 지향하는 ‘탄소중립 모빌리티’의 대표 주자입니다. 단지 수소차 한 대에 머무르지 않고, 이 기술은 수소트럭 '엑시언트', 수소버스, 수소열차 등 다양한 형태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넥쏘는 수소경제를 위한 퍼스트 무버이자, 지속가능한 내일을 위해 달리는 선봉장입니다.

현대차는 2040년까지 수소차 보급을 세계적으로 확대하고, 모든 상용차 라인업을 수소 기반으로 전환하겠다는 비전을 발표했습니다. 넥쏘는 그 여정의 출발점이자, 지금도 도로 위에서 조용히 미래를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현대차 넥쏘는 단순한 자동차가 아닙니다. 그것은 기술과 철학, 환경과 미래가 결합된 새로운 모빌리티의 형태입니다. 수소로 달리며 공기를 정화하고, 짧은 충전 시간에 긴 여정을 가능하게 하는 이 차는, 우리에게 묻고 있습니다.

"미래를 위해, 당신은 어떤 차를 타고 싶나요?"

'알고 싶어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공연예술의 심장, 국립극장  (0) 2025.04.10
#이세계 페스티벌 2025  (0) 2025.04.10
#전주국제영화제  (2) 2025.04.10
HBM이란 무엇인가요?  (0) 2025.04.10
신데렐라 게임  (0) 2025.04.10